성경읽기 : 창세기 16장 1-6절(요약)
아브람의 아내 사래는 생산치 못하였고 그에게 한 여종이 있으니 애굽 사람이요 이름은 하갈이라 사래가 아브람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나의 생산을 허락지 아니하셨으니 원컨대 나의 여종과 동침하라 내가 혹 그로 말미암아 자녀를 얻을까 하노라 하매 아브람이 사래의 말을 들으니라 아브람의 아내 사래가 그 여종 애굽 사람 하갈을 가져 그 남편 아브람에게 첩으로 준 때는 아브람이 가나안 땅에 거한지 십년 후이었더라 아브람이 하갈과 동침하였더니 하갈이 잉태하매 그가 자기의 잉태함을 깨닫고 그 여주인을 멸시한지라 사래가 아브람에게 이르되 나의 받는 욕은 당신이 받아야 옳도다 내가 나의 여종을 당신의 품에 두었거늘 그가 자기의 잉태함을 깨닫고 나를 멸시하니 당신과 나 사이에 여호와께서 판단하시기를 원하노라 아브람이 사래에게 이르되 그대의 여종은 그대의 수중에 있으니 그대의 눈에 좋은대로 그에게 행하라 하매 사래가 하갈을 학대하였더니 하갈이 사래의 앞에서 도망하였더라 (창16:1-6, 개역한글)
- 김태우 형제님 사회 : 오늘은 16장부터 교제할 것인데요. 아브람이 자녀를 생산치 못하는 상태에 있고, 가나안에 들어온지 10년이 되었습니다. 이 내용으로 볼 때에 사래의 불임으로 자녀가 생기지 않음을 그녀도 인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사래의 여종을 아브람에게 줍니다. 한글성경으로는 첩으로 되어 있지만 영어로는 와이프로 되어 있습니다. 곧, 아브람에게 하갈을 아내로 준 것입니다. 이 부분을 다시한번 생각해 보면 좋을거 같습니다.
아브람은 믿음을 가지고 있었지만 사래를 통해서 사람의 생각이 들어오는 것을 보게 됩니다. 이러한 것을 저희가 삶 가운데 많이 등장합니다. 합리적이라 생각되는 사람의 생각이 들어옵니다. 그 결과 이스마엘이라는 아들이 생기게 됩니다. 나중에 이스마엘의 자손들이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서 저희가 추후에 보게 될 것입니다. 어떠한 일을 판단하는데 있어서 저희들의 지혜와 생각이 들어왔을때 어떠한 결과를 초래하는지를 보게 됩니다.
1-6절을 먼저 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 김윤철 형제님 : 15장에서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에게 약속하셨고 아브람은 믿었습니다. 그러나 이삭이 태어나기까지 오랜 시간 기다려야 했고 그동안 아브람의 믿음이 약해진것 같습니다. 그리고 아브람은 하갈을 취하고 이스마엘을 낳게 됩니다.
기록된바 아브라함이 두 아들이 있으니 하나는 계집 종에게서, 하나는 자유하는 여자에게서 났다 하였으나 계집 종에게서는 육체를 따라 났고 자유하는 여자에게서는 약속으로 말미암았느니라 (갈4:22-23, 개역한글)
하갈은 여종이고, 세상을 상징하는 애굽에서 왔습니다. 이스마엘은 육신을 따라 났고, 이삭은 약속으로 말미암아 났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아브람의 몸에서 그 후사가 날 것을 약속하셨습니다. 그러나 그 후사의 어미가 누구일지는 말씀하지 않으셨습니다. 사래는 그것을 알고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서 자기의 여종을 통해서 후사를 보자고 아브람에게 권합니다. 아브람은 사래의 말을 받아들입니다. 이삭은 믿음으로 난 사람들을 가리친다면 이스마엘은 육신을 따라 난 사람들을 가리킵니다.
과거 12장에서 아브람이 애굽에서 나올 때에 하갈이라는 여종을 데리고 나왔을 것으로 보입니다. 아브람의 실수가 시간이 오래 지난 후에도 어떠한 결과로 이어지는지를 생각하게 됩니다.
- 전의석 형제님 : 저희는 아브람이 받은 7번째 시험 중에서 다섯번째 시험을 보게 됩니다. 7번중 다섯번은 잘 통과하고 두번은 실패합니다. 그러나 앞의 시험들은 마지막 7번째 시험을 능히 통과하기 위한 시험들이었음을 생각하게 됩니다.
첫째는 본토를 떠나는 것입니다. 두번째는 기근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고 애굽으로 내려갔습니다. 세번째는 롯과 함께 땅을 선택하는 것이었습니다. 네번째는 룻을 구출해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가 승리했을때 하나님께 영광을 돌려드린 것입니다. 그리고나서 다섯번째 시험인 하갈을 취하는 문제였습니다. 하나님의 약속에 대해서 기다리는 인내를 그는 실패했습니다.
그 결과 여섯번째는 하갈과 이스마엘을 그의 품에서 떠나보내는 것이었습니다. 일곱번째는 이삭을 하나님께 드리는 시험이었습니다. 그래서 다섯번째 시험은 여섯번째와 일곱번째 시험과 많은 연관이 있습니다.
윤철 형제님이 교제하신것과 같이 하갈은 애굽에서 데리고 나온 여종이었습니다. 사래가 바로의 궁에 들어가게 되면서 바로가 아브람을 후대하였습니다. 그리고 많은 육축과 은금과 종들을 주었는데 그 종들 중에 하갈이 있었을 것입니다.
사래는 자기가 생산치 못하는 것이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임을 알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을 하나님의 뜻대로 해결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자기 능력으로 해결하려고 했습니다. 그와같은 것들이 여기서도 보입니다.
"아브람이 사래의 말을 들으니라"(2절) 저도 제 자매의 말을 듣는데요. 어떤 경우에는 그냥 제 자매에게 맡겨버리는 때도 있습니다. 그러나 그것이 가정을 위해서, 모임을 위해서 좋은가 생각하게 됩니다. 모든것을 맡겨버리는 것은 제가 하나님 앞에서 주어진 책임이 있고 그것에 대해서 제가 대답해야 함을 생각하게 됩니다.
"그대의 눈에 좋은대로 그에게 행하라"(6절) 아브람은 인도력을 잃어버립니다. 이를 볼 때에 창세기에서 죄가 들어온 사건을 생각하게 됩니다. "아브람이 사래의 말을 들으니라"(2절)
"그가 자기의 잉태함을 깨닫고 그 여주인을 멸시한지라"(4절) 이 시대에 아이를 낳지 못하는 여인은 이렇게 대부분 했던것 같습니다. 생산하지 못할 때는 자기 여종을 주어서 아이를 생산하는 일이 자연스럽게 있었던것 같습니다. 그러나 저희는 세상의 자연스러움을 그대로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보고 그대로 순종하는 것이 필요하며 때로는 많은 기다림, 인내가 필요함을 생각하게 됩니다.
- 장승훈 형제님 : 16장에 들어서 사래가 하나님의 약속을 온전히 의지하지 못하는 모습을 보게 됩니다. 사래의 불신앙을 보지만 사래가 어떠한 의도로 이같이 행동했는지를 생각하게 됩니다. 그녀는 아마도 불순종해야지 하고 생각하고 한 것이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그녀는 하나님의 약속을 염두하고 있습니다.
아브람은 75세 때에 하나님의 약속의 말씀을 들었지만 10년의 시간이 지났습니다. 그런데 아직 아들이 없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약속이 성취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내가 할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를 생각했을 것입니다. 그래서 2절의 내용이 나온 것입니다.
그러나 그 결과는 굉장히 참혹한 것입니다. 이스마엘은 아랍민족의 조상이 되었고 하갈은 아랍민족의 어머니가 된 것입니다. 지금도 이스라엘과 아랍민족은 굉장히 분쟁하고 있습니다. 사래의 고민은 선한 의도로 시작된 것입니다만, 그것이 하나님의 방법이 아닌 자기 방법을 따라 일을 진행한다면 이것이 엄청난 결과를 낳게되는 것을 보게 됩니다.
저희도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우리 힘으로 뭔가를 하려고 하는때가 많습니다. 그러나 저희는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짐을 믿으며 인내로써 기다려야 함을 교훈받게 됩니다.
형제님들께서도 말씀해 주셨지만 설사 자매님이 합리적으로 의견을 제시한다고 할찌라도 자매가 그 가정을 인도하는 모양으로 간다면 그것은 문제가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형제님의 경우는 가정이 잘못된 방향으로 갈 때에 자매에게 책임을 돌리는 것입니다. 자매님의 경우는 교회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주어진 질서를 따르지 않는 것입니다.
앞서 형제님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아담이 하와를 따라서 죄를 범한것과 같은 과정으로 일이 진행되고 있으며 성경은 이와같은 일들을 계속해서 기록함으로써 저희들에게 경계과 교훈을 주고 있습니다.
- 최재홍 형제님 : 16장에 아브람의 실패에 대해서 기록되어 있습니다.
너는 장수하다가 평안히 조상에게로 돌아가 장사될 것이요 (창15:15, 개역한글)
아브람이 죽은 이후에 모든것이 끝나는 것이 아님을 생각하게 됩니다. 그는 믿음의 조상이고 이제 육체가 죽었습니다. 그는 나중에 영광스러운 몸으로 부활할 것이며 하나님의 약속하신 것이 모두 이루어진 것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다시 16장으로 돌아와서 하나님께서 약속하셨지만 사래는 불임이었습니다. 그래서 아직도 아이가 없었습니다. 하갈은 애굽에서 온 종이지만 그 이름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12장에서 애굽으로 갔던 일이 계속해서 아브람에게 영향을 끼치는 것을 보게 됩니다. 그래서 사래는 하나님의 약속을 인간의 방법으로 해결하고자 합니다.
"나의 생산을 허락지 아니하셨으니"(2절) 사래는 하나님께서 자기의 생산을 허락지 않으셨음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기다리지 못하고 인간의 생각을 따라서 행했습니다. 아브람도 자기가 판단하지 못하고 아내의 생각을 따라서 행하게 됩니다. 그는 영적으로 가정을 이끌어야 했지만 그렇게 하지못했습니다.
"아브람이 사래의 말을 들으니라"(2절) 이 듣다는 경청하다, 순종하다는 의미도 있습니다. 곧, 그 말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알았지만 그에 대해서 반론을 제기하지 않고 그대로 순종했다는 뜻입니다. 아브람은 하나님께 약속을 받은 후로 10년이 지나는 동안 전혀 그 믿음이 흔들리지 않고 순종하는 중이었습니다. 그러나 이 16장에서 아브람이 실수하는 모습이 나오는데요. 이처럼 믿음을 흔들리지 않고 굳건하게 유지하는 일이 힘든 것을 생각하게 됩니다.
이제 하갈은 아브람으로 말미암아 임신하게 됩니다. 하갈은 임신으로 자기가 사래보다 우월하다고 여깁니다. 사래가 하갈을 아브람에게 주었을때 하갈은 더이상 여종이 아니고 아브람의 아내가 됩니다. 그렇기에 하갈은 그 여주인 사래를 멸시하게 되는 것을 보게 됩니다.
- 김대현 형제님 : 앞선 형제님들의 교제가 많이 공감이 됩니다. 아담이 하와의 말을 그대로 따른것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생각하게 됩니다.
아브람과 사래는 10년을 기다렸지만 하나님의 응답이 실행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사래의 제안을 아브람은 받아들였습니다. 사래의 제안이 그럴듯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내가 아이를 생산하지 못하고 첩을 들이는 것이 세상의 풍조였기 떄문입니다.
그러나 하나님께서는 언약을 주시고 25년 후에 이삭을 주십니다. 우리도 하나님께 기도할 때에 이정도 기도했으면 되었지 않는가 생각하고 자기 임의대로 행동하는 것을 보게 됩니다.
하갈은 임신하고 그 여주인을 멸시합니다.(4절) 이것이 불행의 씨앗이 됨을 생각하게 됩니다. 형제님들께서 교제해주셨던 것처럼 하와나 사래에게도 잘못이 있지만 그것을 그대로 따르는 아담과 아브람의 잘못이 더 큼을 생각하게 됩니다. 이와같은 일들을 보고 교훈으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 김태우 형제님 : 저희들에게 하나님의 방법과 그 시간을 기다리는 지혜가 있기를 바랍니다.
'대전 중구 성경읽기(요약글) > 창세기 성경읽기(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읽기 : 창세기 15장 13-21절 (0) | 2025.04.16 |
---|---|
성경읽기 : 창세기 15장 7-12절 (0) | 2025.04.09 |
성경읽기 : 창세기 15장 1-6절(요약) (0) | 2025.04.02 |
성경읽기 : 창세기 14장 17-24절 (0) | 2025.03.26 |
성경읽기 : 창세기 14장 1-16절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