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읽기 : 열왕기하 10장 12-17절(요약)
12 예후가 일어나서 사마리아로 가더니 노중에 목자가 양털 깎는 집에 이르러
13 유다 왕 아하시야의 형제들을 만나 묻되 너희는 누구냐 대답하되 우리는 아하시야의 형제라 이제 왕자들과 태후의 아들들에게 문안하러 내려가노라
14 가로되 사로잡으라 하매 곧 사로잡아 목자가 양털 깎는 집 웅덩이 곁에서 죽이니 사십 이인이 하나도 남지 아니하였더라
15 예후가 거기서 떠나가다가 레갑의 아들 여호나답이 맞으러 오는 것을 만난지라 그 안부를 묻고 가로되 내 마음이 네 마음을 향하여 진실함과 같이 네 마음도 진실하냐 여호나답이 대답하되 그러하니이다 가로되 그러면 나와 손을 잡자 손을 잡으니 예후가 끌어 병거에 올리며
16 가로되 나와 함께 가서 여호와를 위한 나의 열심을 보라 하고 이에 자기 병거에 태우고
17 사마리아에 이르러 거기 남아 있는바 아합에게 속한 자를 죽여 진멸하였으니 여호와께서 엘리야에게 이르신 말씀과 같이 되었더라
(왕하10:12-17, 개역한글)
[ 12-17절 성경읽기 ]
- 전의석 형제님 사회 : 오늘은 예후가 이스르엘에서 아합의 집을 정리하고 사마리아에 가서 남은 아합의 집 사람들을 정리하는 내용을 교제 할 것이다. 가는 여정 중에 남유다 아하시야의 형제들을 만나 그 형제들을 잡아서 다 죽였다.
그리고 레갑의 아들 여호나답을 만난다. 레갑의 자손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다고 본다. 레갑 족속에 대해서 교제하면 좋은 것으로 보인다. 먼저 12-14절을 교제해 주시면 좋겠다.
- 전의석 형제님 : 예후가 사마리아로 가는 여정이 있다. 사마리아 있는 아합의 아들 70인은 궁내대신과 왕자들을 교육하는 자들이 다 목을 베었다. 그 아들들말고 남아있는 아합의 집에 속한 자들을 죽이고 수도로 가서 자기가 보좌에 앉으려고 가는 예후의 모습을 생각할수 있다.
그런데 노정에서 아하시야의 형제들을 만난 예후의 행동을 생각하게 된다.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둘다 생각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긍정적인 측면으로 본다면 아하시야 또한 아합의 집 사람으로 보고 아하시야와 아하시야와 관계된 사람들을 다 죽인 것으로 보인다. 부정적인 측면으로 본다면, 하나님께서 유다의 왕 또한 죽이라고 말씀하지 않으셨는데 예후는 남유다의 왕과 왕족들을 모두 죽인다. 그는 이를 행함으로 자기의 왕권의 강성함을 위하여 그렇게 했다는 것으로 해석할수도 있다.
- 최재홍 형제님 : 13절에 유다왕 아하시야의 형제들이라고 나와있다. 그러나 그의 형제들은 모두 죽었다.
예루살렘 거민이 여호람의 말째 아들 아하시야로 위를 이어 왕을 삼았으니 이는 전에 아라비아 사람과 함께 와서 영을 치던 부대가 그의 모든 형을 죽였음이라 그러므로 유다 왕 여호람의 아들 아하시야가 왕이 되었더라 (대하22:1, 개역한글)
그렇기에 여기에 나온 하아시야의 형제들은 그의 조카나 사촌들로 생각할수 있다.
또한 예후가 아하시야의 형제들을 죽인 것을 저는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 하나님은 아합의 집에 대한 섬멸에 남유다의 왕과 왕족들까지 심판하라는 말씀은 하지 않으셨다. 그러나 예후는 자기의 유리함을 따져 하나님의 말씀을 보다 더 광범위하게 해석해서 남유다의 왕과 왕족들까지 죽였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 성경이 예후의 잘잘못을 따지지 않고 있다.
- 김보영 형제님 : 10장 30절의 말씀을 보면 예후가 아하시야와 그의 형제들을 죽인것을 문책받지 않는 것을 보면 예후가 잘못한 것이 아니라 잘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아하시야의 형제들은 태후나 왕자들(이세벨, 아합의 아들들)에게 문안한다고 했다. 그들은 이미 아하시야가 예후에게 죽었음에도 이렇게 이해할수 없는 어리석은 행동들을 하고 있다.
하나님 앞에서 우리가 바른 길을 가기 위해서는 말씀을 붇잡고 말씀을 좇아가야 하지만 믿지 않는 자들은 어리석은 길을 간다. 그들은 결국 다 죽임을 당했다.
- 전의석 형제님 사회 : 이어서 15-17절까지 교제해 주시기를 바란다.
- 김윤철 형제님 : 레갑 사람들에 대해서 사펴 보았다. 예레미야 35장에 보면 레갑 사람들에 대해서 나온다. 그들은 선조들의 명령을 철저히 지켰고 포도주를 마시지 않았다. 예레미야는 레갑 사람들을 본보기로 유대 사람들을 가르치기 원했다.
예후가 아합의 집을 쳤다는 소식을 듣고, 여호나답은 예후를 맞으러 나간다. 당시에 레갑 족속은 이스라엘 민족들에게 존경을 받는 민족이었고, 그런 레갑 족속의 수장인 여호나답이 그를 맞이하러 간다는 것은 이스라엘의 민심이 어디를 향하는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라고 할수 있다. 또한 하나님의 뜻이 어디에 있는지를 보여주는 한 장면이다.
- 김보영 형제님 : 여호나답을 레갑의 아들이라고 했는데 정확한 것은 레갑의 후손으로 보는것이 맞다. 레갑 족속은 모세의 장인인 이드로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다. 더 가까이는 여호수아와 가나안을 정탐했던 갈렙의 후손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들은 천막을 지고 살았고 포도주를 마시지 않았다. 그들은 경건한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었다. 그들은 예레미야서에서 하나님 앞에서 영원히 섬길것이라는 칭찬도 받았다.
이스라엘 가운데 존경받는 여호나답이 지금 예후를 만나기 위해서 나오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예후가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고 있는 것을 옳게 분별한 여호나답이 그를 맞이한 것이다.
예후는 여호나답의 마음을 얻음으로 자기가 행하는 모든 것이 하나님의 뜻으로 행하고 있다는 것을 드러낼수 있게 된다. 그를 통해 백성들의 마음을 얻게 되는 것이다.
영적으로 성장한 분과 일을 한다고 하는 자체가 얼마나 자기 일을 하는데 있어서 유리한가를 생각하게 된다. 사도바울이 사역을 시작하는데 있어서 바나바를 만난것은 얼마나 힘이 되는지를 생각하게 되는 것과 같다.
- 전의석 형제님 : 모세의 장인인 이드로의 아들이 나오는데 그가 자기들의 땅으로 돌아가려고 하지만 모세가 설득해 이스라엘 가운데 남게 된다.
모세가 그 장인 미디안 사람 르우엘의 아들 호밥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주마 하신 곳으로 우리가 진행하나니 우리와 동행하자 그리하면 선대하리라 여호와께서 이스라엘에게 복을 내리리라 하셨느니라 (민10:29, 개역한글)
느헤미야 시대에 성벽을 세우고 문을 다는데 레갑 족속의 말기야라는 사람이 두개의 문을 중수한다. 그들은 매우 충성스러운 족속이다. 그런 레갑 족속을 하나님께서 기억하시겠다고 예레미야 35장에 기록되어 있다. 그를 통해서 우리가 레갑 족속과 같은 충성스러움을 배울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후는 분명히 장점이 있는 사람이다. 그는 하나님의 도구로 아합의 집을 치는데 쓰임을 받았다. 그러나 31절의 말씀을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예후가 전심으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율법을 지켜 행하지 아니하며 여로보암이 이스라엘로 범하게 한 그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였더라 (왕하10:31, 개역한글)
내가 다른사람을 판단하고 정죄하는 것은 쉽지만, 내가 하나님 앞에서 전심으로 순종하고 있는가를 생각하게 된다. 판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또 중요한 것은 내 자신이 하나님의 말씀에서 벗어난 것이 없는가, 합당하게 살고 있는가를 점검하며 살아야 함을 생각하게 된다.
- 김민원 형제님 : 16절에 "여호와를 향한 나의 열심을 보라"라고 예후가 말한다.
가로되 나와 함께 가서 여호와를 위한 나의 열심을 보라 하고 이에 자기 병거에 태우고 (왕하10:16, 개역한글)
여호와께서 예후에게 이르시되 네가 나보기에 정직한 일을 행하되 잘 행하여 내 마음에 있는대로 아합 집에 다 행하였은즉 네 자손이 이스라엘 왕위를 이어 사대를 지나리라 하시니라 (왕하10:30, 개역한글)
예후는 선지자를 통해서 하신 하나님의 말씀을 생각하고 열심으로 행했다. 그러나 자기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율법의 말씀을 적용하지 못했다.
그러나 예후가 전심으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율법을 지켜 행하지 아니하며 여로보암이 이스라엘로 범하게 한 그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였더라 (왕하10:31, 개역한글)
우리는 모든 부분에서 주님의 뜻을 구하고 겸손히 섬겨야 함을 생각하게 된다. 그냥 열심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부분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섬기고 있는지 봐야 한다.
- 장승훈 형제님 : 우리가 10장을 보고 있는데, 9장 초반부를 공부할때 봤던 말씀처럼 하나님께서는 명하신 것을 예후가 다 행했다. 그런데 조금 어려워지는 부분이 있다.
여호와께서 호세아에게 이르시되 그 이름을 이스르엘이라 하라 조금 후에 내가 이스르엘의 피를 예후의 집에 갚으며 이스라엘 족속의 나라를 폐할 것임이니라 (호1:4, 개역한글)
이스르엘이라는 뜻이 하나님이 흩으셨다는 뜻이다. 그리고 이스르엘의 피를 예후의 집에 갚겠다고 하신다.
그렇다면 예후는 하나님이 하라고 하신 것에 대해서 더 무언가를 했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예후가 하나님께서 하라고 하신 것을 다 했기 때문이다.
겉으로는 예후가 하나님께서 하라고 하신 것을 다했지만 그 마음으로 온전히 하나님의 뜻을 다 따르지 못했다고 생각된다. 그렇기에 하나님께서 이스르엘의 피를 예후의 집에 갚으신다고 한것 같다.
또한 16절에 "나의 열심"을 말하는 부분이 있다. 이는 자기가 한 행위가 하나님께서 하라고 하신 행위를 했다고 겉으로 포장하는 것이다. 그는 계속해서 자기 마음을 감추기 위한 행동을 하는데 그 모습 중에 하나가 10절, 16절에서 나오는 것으로 보인다.
예후는 겉으로 보면 다 맞는 행동을 한 것이다. 그러나 그가 온전한 마음으로 행한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기의 행동을 정당화 하기 위해서 하나님을 계속 끌어들이는 것으로 보인다.
- 김보영 형제님 : 31절 말씀은 28-29절의 말씀과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28 예후가 이와 같이 이스라엘 중에서 바알을 멸하였으나
29 이스라엘로 범죄케 한 느밧의 아들 여로보암의 죄 곧 벧엘과 단에 있는 금송아지를 섬기는 죄에서는 떠나지 아니하였더라
30 여호와께서 예후에게 이르시되 네가 나보기에 정직한 일을 행하되 잘 행하여 내 마음에 있는대로 아합 집에 다 행하였은즉 네 자손이 이스라엘 왕위를 이어 사대를 지나리라 하시니라
31 그러나 예후가 전심으로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의 율법을 지켜 행하지 아니하며 여로보암이 이스라엘로 범하게 한 그 죄에서 떠나지 아니하였더라
(왕하10:28-31, 개역한글)
우상숭배는 십계명을 범하는 것이다. 율법의 핵심을 범하는 것이기에 이와 같은 말씀이 주어진 것으로 보인다.
'대전 중구 성경읽기(요약글) > 열왕기하 성경읽기(요약) 완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경읽기 : 열왕기하 11장 1-4절 (0) | 2022.02.16 |
---|---|
성경읽기 :열왕기하 10장 18-27절 (0) | 2022.02.02 |
성경읽기 : 열왕기하 10장 1-11절 (0) | 2022.01.19 |
성경읽기 : 열왕기하 9장 30-37절 (0) | 2022.01.12 |
성경읽기 : 열왕기하 9장 21-29절 (0) | 2022.01.05 |